2020 NPO 파트너 페어 & 국제 컨퍼런스에 보여주신 많은 관심과 참여에 감사드리며
2021년에 더욱 새로워진 모습으로 만나길 기대합니다.
올해 코로나 19는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 변화 속에서 2020 NPO 파트너 페어와 국제 컨퍼런스는 온라인이라는 조금은 낯선 환경에서 개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비록 상황이
변했지만 올해는 특히 NPO 파트너 페어와 국제 컨퍼런스가 함께 개최되는 만큼, 새로운 도전과 경험의 지평을 넓히는 자리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특히 국제 컨퍼런스는 코로나 위기 속에서 시민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지를 국내외 연사, 현장 활동가들과 함께 고민하는 자리로 준비하였습니다.
서울시NPO지원센터는 지금까지 NPO 파트너 페어가 추구해 온 '변화를 만드는 만남', '연결의
가치를 증명하는 곳'이라는 가치를 온라인에서도 실현시키고자 실시간 화상상담, 실시간 중계 등 다각적 방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 새롭게 만들어질 NPO 생태계의 경험을 놓치지 마세요.
2020 NPO 파트너 페어
2020.10.26.월—10.30.금
09:00—18:00
변화를 만드는 만남
연결의 가치를 증명하는 곳
NPO 파트너 페어는 국내 최초, 국내 유일, 국내 최대의 NPO 지원·산업박람회입니다. NPO 파트너 페어는 비영리단체 지원 사업 보유 조직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 부스로 참여하고 비영리단체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관람객으로 참여하는 국내 최대 비영리 행사로서 지난 3년간 200여 개의 부스참가자와 9,000여 명의 NPO가 관람객으로 참여했습니다.
→
NPO 파트너 디렉토리북 다운로드
A 공공기관/중간지원조직
B 기업사회공헌/사회책임활동
C 기부/투자기관
D 전문가
E 교육/컨설팅
F 디자인
G 모금
H 홍보/마케팅
I IT
J 비영리스타트업
A 공공기관/중간지원조직
B 기업사회공헌/사회책임활동
C 기부/투자기관
D 전문가
E 교육/컨설팅
F 디자인
G 모금
H 홍보/마케팅
I IT
J 비영리스타트업
A 공공기관/중간지원조직
B 기업사회공헌
/사회책임활동
C 기부/투자기관
D 전문가
E 교육/컨설팅
F 디자인
G 모금
H 홍보/마케팅
I IT
J 비영리스타트업
→
2020 NPO 국제 컨퍼런스
International Conference of NPO 2020
2020.10.26.월
14:00—17:20
전환을 통한 회복, 공존을 위한 연결
Resilience for Changeover,
Connection for Coexistence
“COVID-19로 대표되는 전 지구적 위기를
시민사회(NPO)는 어떻게 이해하고 앞으로의 운동 방향과 방법을 재구성해야 할까?"
Understanding Global Crises Represented by COVID-19: Non-Profit Organizations Restructuring
the Future Direction and Methods of Movements
#불확실한오늘 #예정된미래 #전지구적행동
#지속가능을위한전환
#Unstable times #Foreseeable Future
#Global action #Transition for Sustainability
반다나 시바
Vandana Shiva
인도 환경운동가
안은정(랄라)
Eunjeong Ahn (Ralra)
다산인권센터 상임활동가
이유진
Yujin Lee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
한성안
Seong-an Han
좋은경제연구소 소장
리처드 윌킨슨
Richard Wilkinson
영국 요크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교수
권오성
Ohseong Kwon
성신여자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민김종훈(자캐오)
MinKim Jong Hoon (Zacchaeus)
대한성공회 용산나눔의집 원장 사제
전치형
Chihyung Jeon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임윤옥
Yunok Lim
한국여성노동자회 자문위원
유희정(소란)
Hee Jeong Yu (Soran)
전환마을은평 대표
박래군
Lae-goon Park
인권재단 사람 소장
양지혜
JiHye Yang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활동가
박은미(쿵짝)
Eun Mi Park (Koongjjak)
니트생활자 공동대표
변재원
Jaewon Byun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국장
시간 | 프로그램 | |
---|---|---|
개회식 Opening Ceremony |
||
14:00—14:12 | 개회사 양혁승 (사)시민 이사장 |
Opening Remarks Hyuckseung Yang, Chairperson and the President, SIMIN |
축사 서정협 서울시 시장권한대행 |
Congratulatory Remarks Seo Jeong Hyup, The Acting Mayor of Seoul |
|
축사 이용선 국회의원, 전 시민사회수석 |
Congratulatory Remarks Lee Yong Sun, Present Member, 21st National Assembly / Former Senior Secretary for Civil Affairs, Presidential Secretariat |
|
여는세션 Keynote Session |
||
14:12—14:35 | 기조세션 반다나 시바 환경운동가, 인도 "우리의 삶은 어떻게 재구성 되는가" - 민주주의, 자본주의, 세계화에 대한 '전환'을 중심으로 |
Keynote Session Vandana Shiva, Environmental Activist, India "Rebuilding Lives after COVID-19" - The Transition of Democracy, Capitalism and Globalization |
세션 1. 전환을 통한 회복 Resilience for Changeover |
||
14:35—15:45 | 기조연설 리처드 윌킨슨 요크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교수, 영국 “불안정 시대, 끝나지 않는 불평등" |
Keynote Speech Richard Wilkinson, Professor,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York, U.K. “Inequality in Unstable Times” |
1. 경제 한성안, 좋은경제연구소 연구소장 “경제학의 전환, 성장에서 사람으로” |
1. Economy Seong-an Han, President, Good Economy Institute (GEI) “The Transition of Economics, from Growth to Human” |
|
2. 기후위기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 “인류생존 유일한 대안, 2050 넷 제로” |
2. Climate Crisis Yujin Lee, Researcher, Green Transition Institute “2050 Net Zero: the Only Alternative for Humanity's Survival” |
|
3. 지역화 유희정(소란), 전환마을은평 대표 “지구를 지키는 사람들, 전환마을” |
3. Localization Hee Jeong Yu (Soran), Activist, Transition City Eunpyeong “Transition City, People Protecting the Earth” |
|
4. 인권 안은정(랄라), 다산인권센터 상임활동가 “재난도 흔들 수 없는 원칙” - <코로나19와 인권 : 인간의 존엄과 평등을 위한 사회적 가이드라인> 제정의 의미 |
4. Human Rights Eunjeong Ahn (Ralra), Activist, Dasan Human Rights Center “A Principle Even Disaster Cannot Shake” - The Significance of the Enactment of <COVID-19 and Human Rights: A Social Guideline for Human Dignity and Equality> |
|
세션 2. 공존을 위한 연결 Connection for Coexistence |
||
15:45—16:35 | 기조연설 전치형,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우리는 대면하지 않고도 연결될 수 있을까: 테크놀로지의 가능성과 한계” |
Keynote Session Chihyung Jeon, Associate Professor,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We Stay Connected without Face-to-Face Meeting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echnology” |
1. 노동 권오성, 성신여자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문 앞에 노동자가 도착했습니다” |
1. Labor Ohseong Kwon, College of Law, Sungshin Women’s University “A Worker Has Arrived at the Door” |
|
2. 돌봄 임윤옥, 한국여성노동자회 자문위원 “돌봄존중 없이 위기의 극복은 가능한가?” |
2. Care Yunok Lim, Advisory Member, Korean Women Workers Association “Is It Possible to Overcome Crisis without Respect for Care?” |
|
3. 이주민 민김종훈(자캐오), 대한성공회 용산나눔의집 원장 사제 “우리 동네는 이주민 J씨에게 안전하고 평등할까?” |
3. Migrants MinKim Jong Hoon (Zacchaeus), Director Priest, Yongsan Nanum House of the Anglican Church “How Safe Is My Neighborhood to Migrant J, and How Equally Do We Treat Him?” |
|
세션 3. 다시 쓰는 시민사회: 배제되지 않을 권리 Rewriting Civil Society: The Right Not to be Excluded |
||
16:35—17:20 | [시민사회 활동가 대담회]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소장 박은미(쿵짝) 니트생활자 공동대표 양지혜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활동가 변재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국장 |
[Panel Discussion] Civil Society Activists on Stage Lae-goon Park, Director, Human Rights Foundation SARAM Eun Mi Park (Koongjjak), Activist, Neetpeople JiHye Yang, Activist, WeTee (Teenager Feminist Network) Jaewon Byun, Director of Policy,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 |
인사 정란아 서울시NPO지원센터장 |
Closing Remarks Cheong Ran-A, CEO, The Seoul NPO Center |
시간 | 프로그램 | |
---|---|---|
개회식 Opening Ceremony |
||
14:00—14:12 | 개회사 양혁승 (사)시민 이사장 Opening Remarks |
|
축사 서정협 서울시 시장권한대행 Congratulatory Remarks |
||
축사 이용선 국회의원, 전 시민사회수석 Congratulatory Remarks |
||
여는 세션 Keynote Session |
||
14:12—14:35 | 기조세션 반다나 시바, 환경운동가, 인도 “우리의 삶은 어떻게 재구성 되는가” — 민주주의, 자본주의, 세계화에 대한 '전환'을 중심으로 Keynote Session |
|
세션 1. 전환을 통한
회복 Resilience for Changeover |
||
14:35—15:45 | 기조연설 리처드 윌킨슨, 요크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교수, 영국 “불안정 시대, 끝나지 않는 불평등” Keynote Session |
|
1. 경제 한성안, 좋은경제연구소 연구소장 “경제학의 전환, 성장에서 사람으로” 1. Economy |
||
2. 기후위기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 “인류생존 유일한 대안, 2050 넷 제로” 2. Climate Crisis |
||
3. 지역화 유희정(소란), 전환마을은평 대표 “지구를 지키는 사람들, 전환마을” 3. Localization |
||
4. 인권 안은정(랄라), 다산인권센터 상임활동가 “재난도 흔들 수 없는 원칙” - <코로나19와 인권 : 인간의 존엄과 평등을 위한 사회적 가이드라인> 제정의 의미 4. Human Rights |
||
세션 2. 공존을 위한
연결 Connection for Coexistence |
||
15:45—16:35 | 기조연설 전치형,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우리는 대면하지 않고도 연결될 수 있을까: 테크놀로지의 가능성과 한계” Keynote Speech |
|
1. 노동 권오성, 성신여자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문 앞에 노동자가 도착했습니다” 1. Labor |
||
2. 돌봄 임윤옥, 한국여성노동자회 자문위원 “돌봄존중 없이 위기의 극복은 가능한가?” 2. Care |
||
3. 이주민 민김종훈(자캐오), 대한성공회 용산나눔의집 원장 사제 “우리 동네는 이주민 J씨에게 안전하고 평등할까?” 3. Migrants |
||
세션 3. 다시 쓰는 시민사회 : 배제되지 않을 권리 |
||
16:35—17:20 | [시민사회 활동가 대담회]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소장 박은미(쿵짝) 니트생활자 공동대표 양지혜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활동가 변재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국장 [Panel Discussion] Civil Society Activists
on Stage |
|
인사 정란아 서울시NPO지원센터장 Closing Remarks |
→
2020 NPO 국제 컨퍼런스 다시보기
반다나 시바 / 인도 환경운동가
기조세션
"우리의 삶은 어떻게 재구성 되는가" - 민주주의, 자본주의, 세계화에 대한 '전환'을 중심으로
#삶 #민주주의 #자본주의 #해결책 #기후
반다나 시바 박사는 환경, 여성인권, 식량주권 문제를 다루는 인도의 세계적인 환경운동가로, 물리학 교육을 받은 후 인도과학연구소 및 벵갈루루 인도경영연구소에서 과학, 기술, 환경정책 분야에 관한
연구로 학문의 지평을 넓혀왔다. 토종 종자를 활용한 유기농 농법 및 생물 다양성의 보존, 생태 농업을 실천하기 위해 인도의 농장교육 공동체인 Navdanya(나브다냐)를 설립하여 나브다냐 운동을 실천했다.
수상이력으로는 또 하나의 노벨상으로 알려진 Right Living Awards(1993), 시드니 평화상(2010), 국제 환경 서밋 & 어워드 2018 등이 있으며, 2003년 아시아 위크에서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커뮤니케이터 5인에, 2010년 포브스지에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7인에 선정되었다. <이 세계의 식탁을 차리는 이는 누구인가>, <자연과 지식의 약탈자들>, <물전쟁> 등을
저술했다.
Vandana Shiva / Environmental Activist, India
Keynote Session
Rebuilding Lives after COVID-19 - The Transition of Democracy, Capitalism and Globalization
#Rebuilding Lives #Democracy #Capitalism #Solution #Climate
Dr. Vandana Shiva after trained as a Physicist in university,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policy at the Indian Institute of Science and the Indian Institute of Management in
Bangalore. In 1991, she founded Navdanya, a national movement to protect the diversity and integrity of living
resources, especially native seed, the promotion of organic farming and fair trade. Among her many awards are the
alternative Nobel Prize (Right Livelihood Awards. 1993), Sydney Peace Prize in 2010, International Environment
Summit & Award 2018,etc. Asia Week has called her one of the five most powerful communicators of Asia. Forbes
Magazine in November 2010 has identified Dr. Vandana Shiva as one of the top seven most powerful Women on the
Globe. She is the author of ‘Who Really Feeds the World,’ ‘Biopiracy,’ ‘Water Wars,’ etc.
안은정(랄라) / 다산인권센터 상임활동가
인권
재난도 흔들 수 없는 원칙 - <코로나19와 인권 : 인간의 존엄과 평등을 위한 사회적 가이드라인> 제정의 의미
#코로나19와인권 #평등 #존엄 #차별 #민주주의
랄라는 다산인권센터 상임활동가이다. 다산인권센터에서 처음 인권운동을 시작했고, 활동하는 8년 동안 좌충우돌하며 인권의 가치를 배우고 있다. 인권운동이 세상을 한 뼘이라도 더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되길 바라며 활동하고 있다. 최근, 갑작스레 다가온 감염병의 위기에 ‘인권운동은 우리 사회에 어떤 이야기를 건낼 수 있을까’라는 고민으로 인권운동의 동료들과 <코로나19와 인권> 인간의 존엄과 평등을 위한
사회적 가이드 라인을 발표했다.
Eunjeong Ahn (Ralra) / Activist, Dasan Human Rights Center
Human Rights
A Principle Even Disaster Cannot Shake - The Significance of the Enactment of <COVID-19 and Human Rights: A Social Guideline for Human Dignity and Equality>
#COVID-19 and Human Rights #Equality #Dignity #Discrimination #Democracy
Ralra is activist at the Dasan Human Rights Center. She first started out as a human rights activist at the
Dasan Human Rights Center, and has explored the value of human rights for the past 8 years. She hopes that her
work will be a force to bring forth change in the world, even if it were a small one. Recently, in the face of the
sudden crisis of the infectious disease, she has presented a social guideline for human dignity and equality for
"COVID-19 and Human Rights" with other human rights activists, based on her reflection of what stories human
rights movements can tell society.
이유진 / 녹색전환연구소연구원
기후위기
인류생존 유일한 대안, 2050 넷 제로
#기후위기 #전환도시 #회복력 #그린뉴딜 #지역사회
이유진은 기후위기와 지역에너지 전환 활동가이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서울시 동작구 성대골에너지자립마을과 함께 도시기반 에너지전환 활동을 했고, 서울특별시 원전하나줄이기, 태양의 도시, 그린 뉴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에 참여했다. 경기도, 충청남도 등 광역지자체와 당진시, 전주시, 광명시, 순천시 등 기초지자체의 에너지계획수립 연구를 진행했으며 정책자문을 하고 있다. 서울에너지공사 비상임이사를
지냈다. 현재 그린 뉴딜에 대해 연구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Yujin Lee / Researcher, Green Transition Institute
Climate Crisis
2050 Net Zero: the Only Alternative for Humanity's Survival
#Climate Crisis #Transition City #Restoration #Green New Deal #Community
Yujin Lee is an activist in search of solutions to the climate crisis and local energy transition. After the
Fukushima disaster, she engaged in urban-based energy transition activities with Seongdaegol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in Dongjak-gu, Seoul. She also established and participated in developing the major
policies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s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Solar City and the Green New Deal. She has
conducted researches on energy plan establishment of regional local governments such as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as well as basic local governments such as Dangjin, Jeonju, Gwangmyeong and Suncheon, and
currently provides policy advice on these areas. She served as former executive director of Seoul Energy
Corporation. Currently, she researches and establishes policies on the Green New Deal.
한성안 / 좋은경제연구소 소장
경제
경제학의 전환, 성장에서 사람으로
#위기와경제 #경제의새로운패러다임
독일 브레멘대학교에서 기술 및 제도경제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류경제학인 신고전주의 경제학에 맞서 제도경제학의 연구방법론으로 '지속가능한 좋은 경제'를 연구하고 있다. TBN 라디오
'한성안의 경제세상만사'를 진행하며 시민들이 좀 더 쉽게 사회 문제들을 경제학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유한계급론>, <경제학자 베블론, 냉소와 미소 사이>, <리씽킹
이코노믹스> 등을 번역해 국내에 소개했으며 저서로는 <인문학으로 풀어보는 통계학>, <경제학광장>, <진보집권경제학> 등이 있다.
Seong-an Han / President, Good Economy Institute (GEI)
Economy
The Transition of Economics, from Growth to Human
#Crisis & Economy #New Economic Paradigm
Seong-an Han received his Ph.D. in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economics from the University of Bremen in
Germany. His research methodology of institutional economics studies ‘sustainable good economy,’ against
mainstream neoclassical economics. He runs ‘Everything to Know about Economics with Seong-an Han’ on TBN Radio, a
program to make it easier for citizens to understand social issues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His translations
include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Veblen in Plain English: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orstein Veblen's
Economics’ and ‘Rethinking Economics,’ and his books include ‘Understanding the Statistics in the Humanities,’
‘Good Economics,’ ‘Economics towards Progressive Society,’ etc.
리처드 윌킨슨 / (영국 요크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교수)
기조연설
불안정 시대, 끝나지 않는 불평등
#불평등 #사회과학 #불안정한시대 #경제 #해결책
리처드 윌킨슨 교수는 45년 동안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하여 연구했으며, 역학을 연구하기 전, 런던정경대에서 경제사와 과학철학을 전공하였다.
현재 노팅엄 의과대학 사회역학 명예교수, 런던대학교 명예교수, 요크대학 초빙교수 등을 맡고 있다.
그는 건강 불평등에 대한 초기 연구부터 그의 저서와 논문은 빈부소득 차이가 큰 사회가 건강과 사회 문제에 더 큰 부담을 주는 경향에 주목해 왔다. 그의 저서인 ‘건강불평등, 사회는 어떻게 죽이는가?’는
<불평등의 역사>(1996년 채널 4TV Equinox 시리즈 방송) 다큐멘터리 영화로, 저서 ‘평등이 답이다’는 2016년 4월에 다큐멘터리 영화 <디바이드>로 출시되었고 넷플릭스에서 이용가능하다.
아내인 케이트 피킷과 함께 저술한 ‘평등이 답이다’는 현재 24개의 언어로 출간되었으며, 2011년 정치학 협회 올해의 출판상, 2010년 브리스톨 아이디어상을 수상했다. 그의 TED 강연 ‘경제
불평등이 사회를 어떻게 해치는가’는 3백만회 이상 시청되었으며, 솔리다르의 실버로즈상, 아일랜드 암 협회의 찰스컬리 기념 메달, 2017년 호주 의학연구협회 메달을 수상한 이력이 있다. 2018년
6월 케이트 피킷과 함께 ‘불평등 트라우마: 소득격차와 사회적 지위의 심리적 영향력과 그 이유’라는 신작을 출간했다.
Richard Wilkinson / Professor,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York, U.K.
Keynote Speech
Inequality in Unstable Times
#Inequality #Social Science #Unstable Times #Economy #Solution
45 years of research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Richard Wilkinson studied economic history and the philosophy of science at LSE before training in epidemiology.
He is now Professor Emeritus of Social Epidemiology at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Medical School, Honorary
Professor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and Visiting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York. Since his initial
research on health inequalities, his books and research papers have drawn attention to the tendency for societies
with bigger income differences between rich and poor to suffer a heavier burden of health and social problems. Two
of his books have been the subject of documentary films – The Great Leveller (for the Channel 4 TV’s Equinox
series broadcast in 1996) was based on his Unhealthy Societies. The Divide (based on The Spirit Level) was
released in April 2016 (available on Netflix). The Spirit Level, written with Kate Pickett is now in 24 languages.
It won the 2011 Political Studies Association Publication of the Year Award and the 2010 Bristol Festival of Ideas
Prize. His TED talk ‘How economic inequality harms societies’ has been watched over 3 million times. Richard has
received Solidar’s Silver Rose Award, the Irish Cancer Society’s Charles Cully Memorial medal, and he was The
Australian Society for Medical Research medallist in 2017. He and Kate Pickett published their latest book, called
The Inner Level, in June 2018.
권오성 / 성신여자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노동
문 앞에 노동자가 도착했습니다
#플랫폼노동 #혁신의역설 #양극화 #공정의회복 #전가와은닉
서울대학교 공법학과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 후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2002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했다. 2008년부터 성신여자대학교에서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을 가르치고 있으며 현재
경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사)유니온센터, (사)불평등과시민성연구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Ohseong Kwon / College of Law, Sungshin Women’s University
Labor
A Worker Has Arrived at the Door
#Platform Labor #Innovation Paradox #Polarization #Recovery of Justice #Imputation and Concealment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Public Law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Law School a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completing training at the Judicial Research & Training Institute, Ohseong Kwon has worked as a
lawyer since 2002. He has taught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law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since 2008, and
is currently active as a public interest member at the Gyeonggi Labor Relations Commission, Member of the Board of
Directors of the Union Center and the Inequality and Citizenship Research Center.
민김종훈(자캐오) / 대한성공회 용산나눔의집 원장 사제
이주민
“우리 동네는 이주민 J씨에게 안전하고 평등할까?”
#미등록이주민 #지역성 #안전 #평등 #질문
자캐오 신부는 ‘혐오와 차별이 없는 안전하고 평등한 사회’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성공회 용산나눔의집 원장 사제다. 그가 일하는 용산나눔의집은 용산 지역을 근거지로 17년째 등록·미등록 이주민들과
동행하고 있으며, 5년 전부터 성소수자 인권 운동에도 동참하고 있다. 그는 상대적 약자와 사회적 소수자와의 동행에서 ‘안전, 평등, 일상’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소외와 불평등, 인권 감수성’의 문제에
대해 계속 질문하고 함께 변화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MinKim Jong Hoon (Zacchaeus) / Director Priest, Yongsan Nanum House of the Anglican Church
Migrants
How Safe Is My Neighborhood to Migrant J, and How Equally Do We Treat Him?
Migrants #My Neighborhood #Safe #Equal #Questions
Father Zacchaeus is the Director Priest at the Yongsan Nanum House of the Anglican Church, which strives to
create a “safe and equal society free from hatred and discrimination.” The Yongsan Nanum House, based in the
Yongsan area, has been standing side by side with documented and undocumented migrants for the past 17 years, and
has been participating in the LGBT rights movement for the past five years. Father Zacchaeus stresses that
“safety, equality and everyday life” are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with underdogs and social minorities, and
to achieve this goal, it is important to constantly ask questions on issues on “alienation, inequalit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make efforts to bring about change together.
전치형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기조연설
“우리는 대면하지 않고도 연결될 수 있을까 : 테크놀로지의 가능성과 한계”
#IT #연결 #대안 #비대면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서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인간의 정체성과 사회 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많다. 지은 책으로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 <미래는 오지 않는다: 과학기술은 어떻게 미래를 독점하는가>(공저) 등이 있다.
Chihyung Jeon / Associate Professor,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eynote Speech
Can We Stay Connected without Face-to-Face Meetings?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echnology
#IT #Connected #Alternatives #Non-Face-to-Face
Chihyung Jeon is Associate Professor at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Jeon conducts
research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echnologies with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various policy issues that arise from specific human-technology-society configuration. He is the author of ‘Man's
Place: Touching the Mind of Science,’ ‘The Untouchable Future: How Science & Technology Dominate the Future
(co-author),’ etc.
임윤옥 / 한국여성노동자회 자문위원
돌봄
돌봄존중 없이 위기의 극복은 가능한가?
#돌봄 #젠더 #돌봄노동 #돌봄사회
어렸을 적부터 ‘여자답게’를 강요하는 현실에 ‘왜?’라는 질문을 던졌다. 여성의 삶을 왜곡하는 성차별적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노동자의 독자적인 목소리가 조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부평4공단
여성노동자가 되었다. 2019년 한국여성노동자회 상임대표를 퇴임할 때까지 28년간 여성노동자회에서 성평등 노동 실현을 위한 활동을 펼쳐왔다. 두 딸의 엄마로 따뜻하면서도 유쾌한 페미니스트를 꿈꾸며 일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여성노동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Yunok Lim / Advisory Member, Korean Women Workers Association
Care
Is It Possible to Overcome Crisis without Respect for Care?
#Care #Gender #Care Work #Care Society
Lim has had the question 'Why do I have to be womanlike?' since she was a child. To bring change to the
reality of gender discrimination that she believes distorts women's lives, Lim became a female laborer at Bupyeong
Fourth Industrial Complex with the belief that a systematic organization must be made for women laborers
independent voices. Until she resigned as Standing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Women Workers' Association in
2019, Lim has been involved in activities for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 labor at the association for 28
years. As the mother of two daughters, she hopes to be a warm and cheerful feminist. Currently, she works as an
Advisory Member of the Korean Women Workers Association.
유희정(소란) / 전환마을은평 대표
지역화
지구를 지키는 사람들, 전환마을
#기후위기사회가_재난사회가_되지않기위한_공동체 #탈탄소사회의공동체 #생태문명으로의전환사회 #작고안전한삶의공동체
소란은 서울 은평에서 전환마을운동을 하는 풀뿌리활동가다. 지구의 미래는 지역의 존립이라고 생각하며 지역의 자원을 발견하고 지역 먹거리를 지키고 지역 사람들을 연결하며 지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려고 한다. 퍼머컬처, 풀학교 등 다양한 생태적 행동들, 마을을 역동적으로 바꾸는 일이 기후위기 시대의 유일한 해법이라고 믿으며 오늘도 도시에서 땅을 일군다.
Hee Jeong Yu (Soran) / Activist, Transition City Eunpyeong
Localization
Transition City, People Protecting the Earth
#Community to prevent a society in climate crisis from facing disaster #Community in a decarbonized society #Society transitioning into ecological civilization #Community of small and safe life
Soran is a grassroots activist of the Transition City Movement in Eunpyeong, Seoul. She believes that the
future of Earth depends on the existence of a region, and thus seeks to discover local resources, preserve local
food, connect local people, 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 She cultivates the soil in the city every day, based
on her belief that the only solution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is to carry out ecological actions such as
Permaculture and Weeds School, bringing about dynamic changes in villages.
박래군 / 인권재단 사람 소장
1988년부터 한국 내에서 벌어졌던 국가폭력의 해결을 위해서 노력해왔다. 최근에는 인권운동 지원조직인 인권재단 사람에서 ‘지속가능한 인권운동의 조건’을 만들어가는 일에 집중하면서 세월호참사의
진상규명과 피해자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Lae-goon Park / Director, Human Rights Foundation SARAM
Lae-goon Park has been fighting for victims of state violence in South Korea since 1988. Recently, he focuses
on establishing ‘conditions for sustainable human rights movements’ at Human Rights Center SARAM, and calls to
seek the truth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provide support for victims of the disaster.
양지혜 /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활동가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는 2018년 촉발된 스쿨미투 운동을 계기로 창립된 네트워크이다. 청소년이 당사자를 넘어, 세상을 바꾸는 한 사람으로 여겨지는 사회를 소망한다. 양지혜는 고등학교 때,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사회운동을 접하게 되었으며, 입시경쟁과 대학을 거부한 청년활동가로 위티에 함께하고 있다.
JiHye Yang / Activist, WeTee (Teenager Feminist Network)
WeTee, a teenager feminist network, was established when the School #MeToo movement was triggered in 2018.
WeTee hopes to create a society in which teenagers can go beyond themselves to become people who can change the
world. JiHye Yang first joined social movements while in high school, after the occurrenc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She refused to enter university or to join the excessiv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inations and
instead decided to devote herself to living as a young activist.
박은미(쿵짝) / 니트생활자 공동대표
6번의 이직과 퇴사를 반복하다 니트족이 되었다. 니트족의 경험을 경력삼아 '니트생활자' 커뮤니티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현 시점의 니트족(NEET)을 사회가 요구하는 삶이 아닌 내가 주도하는
삶을 고민하고 찾는 사람들이라 정의하며, 니트족이 바로 미래의 인재이며, 대안 사회를 맞이할 주체들이라 믿는다.
Eun Mi Park (Koongjjak) / Activist, Neetpeople
After moving from job to job 6 times, Park Eun Mi decided to become a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Based on her experience as a NEET, she began managing the Neetpeople community. Park defines the NEET
as people who lead their own lives instead of what is required by society, and believes that the NEET are future
talents of this world, as well as main agents of an alternative society.
변재원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국장
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하며 장애인 정책 분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세상(No one leave behind)을 꿈꾸며 장애인운동에 뛰어든 활동가.
Jaewon Byun / Director of Policy,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
He majored in public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and became interested in analyzing policies for the
disabled. He is an activist who entered the movement for the disabled, dreaming of a world where no one is left
behind.